세 번째 살인

좋아하는 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영화다.
이 감독의 책도 영화에 관한 책도 봤다.
개인적으로 매우 추천한다.
아주 존경하게 된다.
영화를 왜 만드는지 이 감독은 pd수첩 같은 비슷한 사회에 대한 고찰을 담긴 방송 PD 생활을 했다고 한다.
그래서 영화들의 메세지가 사회고발적인 영화가 꽤 있다.
아동방치를 다룬 '아무도 모른다'
일본 사회의 빈곤가를 다룬 '어느가족' 등이 있다.
이영화도 뭔가 범죄에 대한 질문을 하는듯한 영화다.
줄거리는
범인은 사람을 죽였고 자백하고 사형은 확실했다. 범인의 변호사 시게모리는
사건을 조사하고 피해자의 딸 사키에의 진술은 번복되고
모든 것을 의심한다.
세번째 살인은 솔직히 모호한 영화다 .
아직도 결론을 잘 모르겠다.
사건이란건 복잡하다라는 것이다.
이 영화에 대해서 내용을 단순하게 말할수가 없다.
일단 범인으로 나오는 주연 배우가 너무 착하게 생겼다.
이제까지 일본의 안성기 처럼 선한 배역으로 나왔다. (쉘위댄스같은 친근한 영화)
그래서 범인의 편을 들고 영화를 보게 된다
주인공인 변호사도 범인이 조금이라도 감형받기 (사형이라도 면하기 위해)
자백을 하는 범인의 말을 믿기보단 적극적으로 사건을 검색한다.
사건에 다가갈수록
범인의 자녀가 죽였나? 그냥 미스테리하게 나온다.
사건의 범인의 자백은 확실하지만 변호사는 계속 사건에 대해 파혜치고
여자 검사는 범인측 변호사한테 경고한다.
"당신간은 변호사가 범인이 자신의 죄를 못마주하지 못하게 한다" 대사가 있다.
난 이 대사가 너무 와닿았다. 강력 사건이 뉴스에 나올때면 이영화가 생각난다.
고유정 사건에도 비싼 변호사들을 채용하다가 여론의 심판을 받았는데
그 사람들의 말은
"사건의 실체를 가까이 알고 싶었다"라는 성명을 냈다.
물론 변호사는 누구에게나 변호를 할 수 있지만
사람들이 분노한 이유는 분명 뛰어난 변호사들의 변명들이
분명 범인 본인이 죄를 축소시키게 느끼게 해주는게 소름끼쳤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가 생각나는 이유는
실제 사건들의 살인자들은 이 영화의 주인공처럼 착해보이지 않다.
더 잔인하고 더 변명하며
그들이 고액으로 고용한 변호사는 정확한 사건의 변호가 아닌
사건에 집중하지 않고 변명으로 포장하는 사건들이 꽤나 있다.
그럴때마다 이 영화의 검사가 했던 대사가 생각난다.
그 토록 잔인한 범죄를 혼자 저질렀으면
왜 재판장에서 사건을 마주 해대지 못하며 자백을 제대로 하지 않고
증거에 변명하며 없는 피해자를 가엾게 하는 사람들에게 비통함을 느끼게 한다